본문 바로가기

Hana 피플52

노충현 작가의 풍경탐독 :: 풍경의 민낯, 계절의 감정과 온도 노충현의 풍경은 우리의 일면을 담담하게 보여주는 것 같다가도 공간에 대한 여러 가지 상념과 회환을 밀어 올린다. 우리가 겪는 숱한 감정의 부유물들을 풍경 위에 계절의 정취와 작가 특유의 정서로 부려놓았다. 풍경에 고스란히 감응했던 깊은 사색의 붓질은 풍경의 질감을 더듬어보게 만든다. 이제 우리는 조금씩 천천히 풍경 속에 머물면 된다. 지난해 여름 개인전 을 마치고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나요? 올해 2월 누크갤러리에서 김윤수 작가와 2인전을 했어요. 전시가 끝난 이후에는 한강시민공원을 그렸던 시리즈와 동물원을 그린 시리즈 작업을 하고 있어요. 그 외에는 몇 군데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고요. 제 생활은 단조로운 편이에요. 특별히 먼 곳으로 떠나는 것은 드물고 주로 가던 곳이나 근거리를 다니는데, 특히 동네.. 2015. 1. 7.
네오팝아티스트, 나라 요시토모의 작품세계 :: 나라의 아이들 순진한 듯하면서도 이내 악동 같은 표정을 짓는 아이들. 삐죽거리는 얼굴의 소녀는 어릴 적 철없고 순진했던 시절 우리의 모습이자 동시에 소심하고 시니컬한 현대인의 초상이다. 나라 요시토모의 아이들은 잊힌 옛 물건들을 서랍 속에서 살짝 꺼내어 보듯 과거의 우리를 마주하게 한다. 어른들의 잃어버린, 혹은 잊어버린 과거를 투영함과 동시에 복잡한 현대인의 감정의 선을 읽어낼 수 있다는 것. 그 점이 나라의 그림을 특별하게 만드는 이유다. 팝아트와 네오팝, 일본 네오팝의 태동과 전개 교수 겸 비평가 사와라기 노이(Sawaragi Noi)에 의해 확립된 용어인 ‘네오팝(Neo Pop Art)’은 동시대적 관점에서 재해석된 팝아트라 해도 무리는 없다. 즉 1950년대 초 영국에서 빛을 밝혔으나 1960년대 미국에서 화.. 2014. 12. 31.
설치작가 롭 윈느(Rob Wynne)의 뉴욕 스튜디오, 시가 흐르는 거울에 머문 시선 ‘I almost remember(나는 거의 기억하지)’ ‘probably definitely(아마도 분명히)’ 입 속에서 굴릴수록 여러 맛이 나는 문장들이 벽면을 타고 흐른다. 액체가 녹은 형상인 롭 윈느의 거울 작품들은 마음속 잔잔한 파동을 일으킨다. 책과 예술품이 가득한 작업실에서 삶을 시처럼 음미하는 그를 만났다. 내가 롭 윈느(Rob Wynne)를 만나게 된 것은 친구 로야(Roya)를 통해서였다. 그녀는 롭 윈느의 작품 활동을 돕는 후원가이자 컬렉터다. 뉴욕에서 아트 컨설팅을 하고 있는 내게 롭 윈느 소장품을 보여주는 등 적극적으로 그를 만나볼 것을 권했다. 그녀의 집 한쪽 벽면에 걸린 롭의 작품은 매우 강렬하게 다가왔고, 작품을 본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스튜디오를 방문하게 되었다. 로야.. 2014. 12. 10.
당신은 우리에게 영감을 줍니다. 특별한 이유가 필요한가요? <랄프 스테드먼 스토리> 카메라가 켜지고 백발성성한 노인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곧이어 익숙한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그는 노인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랄프, 지금 우리가 무얼 하고 있죠?” 이들은 영화를 찍고 있습니다. ‘랄프 스테드먼’이라는 삽화가의 삶과 예술적 신념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입니다. 제목은 , 부제는 ‘이상한 나라의 친구들’입니다. 연출은 세계적인 CF, 뮤직비디오 감독인 찰리 폴이 맡았습니다. 평소 랄프에게 큰 영감을 얻었다는 그는, 그래서인지 시종일관 랄프의 작품을 닮은 감각적인 영상으로 관객들에게 시각적 유희를 줍니다. 랄프의 초기 작품부터 스케치, 사진, 비디오와 녹음 파일까지 노 화가의 삶이 녹아 있는 모든 것을 활용해 재치있는 다큐멘터리를 선보이죠. 몽타주 형식의 인터뷰 영상과 애니메이션을 엮은 화려한 .. 2014. 11. 19.
랩과 비트가 뒹구는 뉴욕, 그리고 두 청춘. 바스키아와 라멜지 검은 피카소,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는 알아도 그의 친구 라멜지(Rammellzee)를 아는 이는 드물 겁니다. 또 바스키아가 한때 꽤 진지하게 뮤지션으로 활동했던 사실도 말입니다. 힙합 문화가 거리를 휩쓸기 시작했던 뉴욕에서 두 동갑내기 친구는 획기적인 앨범을 만들어냈습니다. 바로 1983년 발표된 싱글 앨범 입니다. 낙서 화가들의 힙합 앨범 1970년대 뉴욕은 펑크, 록, 재즈, 힙합 문화가 뒤섞여 폭발적인 에너지를 뿜어대던 곳이었습니다. 쇠퇴한 히피 문화와 벨벳언더그라운드가 남겨놓은 전위적인 사운드를 자양분 삼아 새로운 음악이 두드러지게 모습을 드러냈고, 흑인을 중심으로 한 힙합 문화가 태동하던 시기였으니까요. ‘창작의 자유’에 있어서 제한선을 두지 않았던 이 뜨거.. 2014. 11. 12.
[아티스트x아티스트]플라토에서 만난 젊은 작가 경현수, 길종상가 앨프리드 스티글리츠는 조지아 오키프의 그림을 보자마자 위대한 여류 화가의 등장을 알아챘고, 앤디 워홀은 거리에서 본 작은 엽서 조각에서 바스키아의 비범함을 눈여겨봤다. ‘해본 사람이 안다’고 했던가. 작가들은 때로 자신의 분야에서 반짝이며 빛을 내는 예술가들을 민감하게 포착하곤 한다. 플라토 미술관에서 열린 展도 기획자가 아닌 작가가 추천한 예술가들을 소개하는 전시다. 그곳에서 만난 아티스트 경현수, 길종상가를 소개한다. 해체하고 재조립한 생경한 공간 “길이나 공간이 작업 주제가 된 이유는 단순해요. 건축 모형용 라운드 스틱이 그 시작이었죠.” 1990년대 말, 경현수 작가는 미국에서 유학하던 중 대형 공구상가에 들렀다가 우연히 얇은 라운드 스틱을 발견했다. 또렷하고 샤프한 그 모양새에 이끌려 작업실 한.. 201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