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 컬쳐660 [3·1절 특별기획 3탄] 3.1절 운동의 의미와 역사 매년 3월 1일이 오면 많은 사람이 3.1절을 생각합니다. 일제로부터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다 함께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친 바로 그 날. 남녀노소, 어른과 학생, 아이까지 모든 겨레가 한마음 한뜻으로 외쳤던 1919년 3월 1일의 모습. 매년 3.1절이 될 때마다 그 날의 모습을 떠올리며 순국선열들의 넋 앞에 고개가 숙연해지곤 합니다. 3.1운동이 일제의 폭압에 항거한 독립운동이라는 사실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죠. 그러나 조금 더 들여다보면 놀라운 사실 하나가 더 있습니다. 바로 비폭력 저항운동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시피 3.1운동은 일제 강점기인 1919년 3월 1일, 우리 국민들이 일제 식민통치와 지배에 항거하며 독립을 외친 만세 운동입니다. “대한 .. 2018. 2. 26. [3·1절 특별기획 2탄] 3.1절에 방문하면 더 특별한 장소 1919년 3월 1일,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입니다. 이날을 기리고 기념하는 의미에서 국경일로 정하고 기념식과 여러 기념행사들을 열어 순국선열들을 추모·애도하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집마다 태극기를 걸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플래시 몹을 펼치거나, 뜻깊은 장소에 방문해 인증샷을 남기는 등 그 의미를 되새기는 분들도 많죠. 그래서 오늘은, 3.1절과 우리 독립운동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장소들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독립기념관, 서대문 형무소입니다. 광화문에 위치한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개항기 이후인 1970년부터 현재까지 .. 2018. 2. 26. [3·1절 특별기획 1탄] 대한민국의 여성 독립운동가들 매년 3월 1일이면 거리를 수놓은 태극기만 바라봐도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191년에 일어난 비폭력 만세운동인 3·1 운동을 기념하여 순국선열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날인 3·1절이기 때문이죠. # 잊힌 그 이름, 여성 독립운동가 하지만 독립운동에는 잊힌 이름이 많습니다. 특히 여성 독립운동가들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요. 실제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여성들은 2,000여 명. 하지만 국가보훈처에서 독립유공자로 포상이 된 사례는 300명이 채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유관순' 열사 정도겠지요? 오늘은 하나은행 블로그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재조명해보겠습니다. 조마리아 여사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안중근 .. 2018. 2. 26. 미세먼지 초비상! 미세먼지 예방할 수 있는 TIP 총정리 추운 날씨가 풀리는가 싶더니 하늘이 뿌옇습니다. 사람들은 이번 겨울은 '삼한사온'이 아닌 '삼한사미(三寒四微)'라고 부르는데요. 삼한사미란 '3일 동안 춥고 4일 동안 미세먼지가 낀다'는 신조어입니다. 미세먼지의 위험성은 몇 번을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죠. 우리 몸에 들어온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비롯해 인체 곳곳에 질환을 일으키는데요. 그 때문에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집 밖으로 나가야 하는 경우, ‘마스크'만 착용해도 내 몸속에 침투하려는 미세먼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미세먼지를 막아줄 마스크를 고르는 방법부터, 착용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든 마스크가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겨울에 주로 사용하는 방한용 면 마스크는.. 2018. 2. 23. 게임머니와 아이템에서 찾아낸 게임 속 경제학 요즘 출퇴근 길을 돌아보면 거의 모든 사람이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으로 무언가를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톡을 하거나, SNS를 하거나 게임을 하고 있는데요. 특히,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는데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국내에서 게임은 아이들 또는 철없는 어른들이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이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일상생활의 활력소로 자리매김한 것입니다. 일부 어른들은 아직도 게임을 낮추어 평가한다지만, 이제 게임은 우리 생활 밀접한 곳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국가 발전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특히 경제와 관련된 부분에서 말이죠. 게임 속 몰랐던 숨겨진 이면, 게임의 경제학입니다. 과거에는 아이들에게 무조건 게임을 하지 말라고 이야기했지만, 요즘은 사정.. 2018. 2. 22. 세뱃돈 얼마씩 줘야할지 고민될 때, 이색 세뱃돈을 선물해보세요! 매년 설날이 되면 드는 고민이 있습니다. “아이들 세뱃돈을 얼마씩 줘야 하지?” 그러나 정작 설날이 지나고 나면 아이들 역시도 누가 얼마를 주었는지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고, 아이들도 모인 세뱃돈을 분별없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설에는 뭔가 기억에 남는 특별한 세뱃돈을 줄 방법이 없을까요?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는 분들을 위해 기억에 남고 만족도도 높은 이색 세뱃돈 주는 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첫 번째 방법은 세뱃돈을 외화로 환전하여 주는 것입니다. 달러나 유로, 엔화, 위안 등의 대표적인 외화도 좋고 제3세계의 통화로 환전할 경우 아이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낱장의 수가 많아져 큰돈을 주는 것 같은 착시를 주기도 합니다. 또한, 요즘처럼 엔화가 낮을 때.. 2018. 2. 13.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