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Blog840

2022 개편 내용 총정리! 종합부동산세의 모든 것 매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은 종합부동산세 납부 기간입니다. 종합부동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 일정 금액 이상의 고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재산세입니다. 2021년에 비해 2022년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자가 급증하면서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자 세금 종합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는 투기수요를 억제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고액 부동산 소유자에 대해 추가로 부과하는 재산세입니다. 주택 및 토지의 공시가격 합산액이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납부해야 합니다. 과세 대상은 주택(부속토지 포함), 종합 합산 토지, 별도 합산 토지(상가, 사무실 부속토지 등)가 있습니다. 주택은 6억원 이상 .. 2022. 12. 13.
월세보다 비싼 관리비? 관리비 공개 의무화된다 제2의 월세라고 불리우는 관리비, 청년 세입자의 31.7%가 월세로 거주하는데 월세의 30%가 관리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월세보다 관리비가 높은 사례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리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자 국토부는 관리비 투명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관리비 공개 의무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깜깜한 관리비 사각지대 관리비는 아파트, 공동주택 등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지불하는 비용으로 크게 공용 관리비와 개별 사용료로 나뉩니다. 공용 관리비는 건물을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세대별로 나눠서 내는 항목으로 일반관리비, 청소비, 경비비, 승강기 유지비 등이 포함되며, 개별 사용료는 전기료, 난방비, 수도료 등 계량기를 기준으로 개인이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2022. 12. 8.
간편결제 시장의 게임 체인저? 애플페이 등장 애플페이(Apple Pay)가 국내 시장 진출을 위한 막바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삼성페이나 카카오페이 등의 간편결제 서비스의 뒤를 이어, 애플페이가 간편결제 시장의 판도를 뒤바꿔 놓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 간편결제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애플페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성장하는 간편결제 시장 간편결제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스마트폰에 신용카드, 은행 계좌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비밀번호 입력 또는 단말기 접촉을 통해 결제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삼성전자의 삼성페이, 네이버의 네이버페이, 카카오의 카카오페이 등이 대표적인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따로 지갑을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스마트.. 2022. 12. 6.
사회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절세 가이드 근로소득세를 납부하는 근로자라면 매년 ‘연말정산’을 해야 합니다. 연말정산은 1년간 납부한 근로소득세를 정산하는 절차로 연말에 실세 소득 기준으로 다시 세금을 정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자신이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을 잘 알고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년 근로자라면 반드시 해야 하는 연말정산이지만 올해 처음으로 연말정산을 접하는 사회초년생에게는 생소하고 어려운 개념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연말정산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소득이 있는 곳에는 세금이 있다는 말이 있듯이 급여를 받을 때도 근로소득세가 붙게 됩니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미리 원천 징수한 세금에 대해 다음 해 1~2월이 되면 연말정산을 하게 됩니다. 정산 결과 .. 2022. 12. 1.
청년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주거지원 정책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의 주거 문제가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는 청년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거비 부담 완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청년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청년 주거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심각한 청년층의 주택난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하락하면서 최근 청년층의 전세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연립주택이나 빌라 밀집 지역 집값이 하락하면서 깡통전세, 즉 전세가가 매매 가격과 비슷하거나 매매 가격보다 높은 매물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만일 깡통전세 매물을 임차했다가 집주인이 채무를 해결하지 못해 잠적하거나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합니다. 전세 사기 피해자 대부분.. 2022. 11. 29.
새롭게 탄생하는 노후 주거지, 소규모 재개발사업 모아타운 2022년 10월 20일, 서울시에서 하반기 모아타운 대상지 2차 선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모아타운이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모아타운’과 ‘모아주택’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오늘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모아타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아타운과 모아주택 서울시의 주거 면적 중 저층 주거지가 차지하는 면적은 121㎢입니다. 1990년대부터 지어진 곳으로 심각한 주택 노후화, 주차난, 녹지 및 휴게공간 부족 등의 문제로 정비 사업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그중 87%가 고층 아파트를 지을 수 없어 재개발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지역들도 노후주택 및 기반 시설을 정비할 수 있도록 등장한 .. 2022.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