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Blog835

개강 러브라인을 위한 대학생활 연애 지침서 누군가에게는 새 출발이, 누군가에게는 첫 후배를 기다리는 설렘이, 또 누군가에게는 2년 사이 많이 바뀐 학교와 사람들을 만나는 긴장감이 되는 이름, 개강. 개강을 맞이하는 각자의 생각과 마음가짐은 모두 다르겠지만, 봄과 함께 찾아오는 개강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러브라인입니다." 살랑이는 봄바람과 함께 새로운 사랑이 찾아오진 않을까 하는 기대는 신입생과 재학생, 그리고 복학생에게도 똑같이 생겨나는 부푼 희망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이때 꼭 지켜야 할 수칙이 있습니다. 바로 '기다리고만 있지 않는 것'입니다. 운명 같은 사랑도 물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운명 같은 만남도 감 나무 아래에서 감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다 찾아온 것이 아닌, 스스로의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2014. 2. 25.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GR길, 카일라스 순례길까지. 나를 찾아 떠나는 세계의 걷기길들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히 사랑받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바로 힐링입니다. 갑갑하고 지치는 삶에서 잠시 일탈하여 심신의 안정과 회복을 도모하는 일인데요. 더불어 이 힐링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힐링이 되는 먹거리, 마실거리, 운동, 여행 등 많은 관련 상품과 방법들이 온라인을 타고 들불처럼 번져가는 가운데 아마도 가장 크게 주목을 받은 것은 '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제주올레길을 시작으로 둘레길, 마실길 등등 사람들이 걸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고, 또 때론 아무 생각도 하지 않으며 나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혹은 종교적 수행 차원에서 길을 떠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너무 많은 '힐링 여행객'들이 몰리면서 조용히 사색에 잠기는 것도 쉽지 않은.. 2014. 2. 18.
다가오는 정월대보름, 꼭 알아둬아야 할 풍습들은 무엇이 있을까? 다가오는 2월 14일. 연인들이 초콜릿으로 마음을 표현하고, 사랑을 확인하는 발렌타인데이이기도 하지만 올해는 동시에 민족의 명절인 정월대보름이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1월 15일을 가리키는데요. 올해는 공교롭게도 연인들의 날인 발렌타인데이가 겹쳐 사람들이 많이 잊어버리고 지나치진 않을까 염려가 되기도 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연인들에게 또 하나의 즐길거리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놓치면 안 될 정월대보름의 세시풍속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연인들이 함께 비는 달맞이 소원 정월대보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커다란 보름달, 그리고 그 달에 소원을 비는 달맞이일 것입니다. 예로부터 달은 '음의 기운', 그리고 '물의 여신'을 상징해 농경문화에서 큰 의미를 .. 2014. 2. 12.
신혼부부가 알아야 할 통장관리 상식 입춘이 지나서일까요? 날은 아직 춥지만 내리쬐는 볕은 봄볕 같고 금방이라도 따스해지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을 것만 같습니다. 계절의 여왕이라는 5월, 화려한 웨딩을 꿈꾸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신혼부부의 통장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이 신혼부부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부분이었다면 이번에 전해드릴 내용들은 보다 실질적인 통장관리방법에 대한 것들입니다. 결혼이라는 큰 결정을 내리고 인생의 새로운 밑그림을 그리는데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 저축, 얼마나 해야할까? 결혼을 하고 금융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 가장 먼저 하는 고민은 바로 '얼마나 저축을 해야할까?'하는 것입니다. 신혼생활을 즐기며 아기가 생기기 전까지 둘이서 하고 싶.. 2014. 2. 7.
창직(Job Creation)이 대세? 새롭게 등장할 디지털 이색직업, 무엇이 있을까? 얼마 전까지 창업이 큰 화두였다면 최근 들어 들려오는 말로 '창직(Job Creation)'이란 개념이 눈길을 끕니다. 창직이란 취업도 쉽지 않고 적성과 무관하게 기존의 업종을 따라가는 창업도 싫은 사람들이 본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게 창의적 아이템을 가지고 새로운 직업이나 직무를 만들어내는 창조적 활동을 말합니다. 기존의 직업을 재구성하여 나에게 맞게 만들어 낸 것일 수도 있고, 아예 누구도 생각지 못한 새로운 직업이 탄생할 수도 있죠. 이렇게 창조적 아이디어와 창직 활동을 통해 개인의 지식이나 기술, 능력뿐 아니라 자신의 흥미와 적성이 맞아서 시작한 일은 일을 지속할수있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성공 가능성도 더 높습니다. 물론 창직이라는 배경에는 적성보다 스펙을 따지는 씁쓸한 사회의 모습이 있지만, 지.. 2014. 1. 31.
설날 세뱃돈의 의미와 유래는? 올 해는 아이에게 세배의 의미를 알려주세요 민족의 대명절 설날. 일가친척들을 모두 만나는 설날은 그 자체로 즐겁고 설레지만 설날에는 특히나 아이들이 들뜨기 마련입니다. 일년에 한 번, 세뱃돈이라는 명목하에 많은 용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날이 가까워지면 세뱃돈을 받기도 전부터 친척수로 세뱃돈을 가늠하고, 금액에 맞춰 사고 싶은 물건을 정하고, 혹시나 경기가 좋지 않아 예상보다 적은 세뱃돈을 받게 되면 명절 내내 기분이 안 좋아지기도 하고…. 어느새 아이들에게 설날은 세뱃돈 받는 날, 혹은 세뱃돈 그 자체가 되어버린 것은 아닌가 생각됩니다. 물론 우리가 어릴 적에도 비슷했지만 적어도 세배와 세뱃돈의 의미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배와 세뱃돈의 의미와 그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 201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