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 Blog835 5만원 신권 위조지폐 감별법, 명절 신권을 확인하세요 민족의 대명절 설이 돌아왔습니다. 가족들이 모이는 명절은 언제나 즐겁지만 설이 되면 특히나 아이들의 입가에 함박 미소가 지어집니다. 바로 세뱃돈 때문입니다. 어른들에게는 은근한 부담이 되기도 하지만 즐거워할 아이들을 생각하면 기쁜 마음으로 은행에 들러 새 지폐를 구합니다. 그러나 올해는 예년에 비해 신권 규모가 절반 가량으로 줄어 새 지폐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따라서 이미 시중에 나와있는 지폐를 이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시기에는 위조지폐를 특히 조심해야합니다. 신권이 부족한 상황을 이용해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는 사람들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조지폐 사용시 처벌 규정 위조지폐는 만든 사람들도 처벌을 받지만 알고도 사용했을 경우 함께 처벌을 받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하.. 2014. 1. 29. 잘못보낸 돈 돌려받는 방법은? 모바일 뱅킹, 인터넷 뱅킹이 활성화되며 크고 작은 금액을 송금하게 되는 일이 빈번해졌습니다. 따라서 송금하기 전 계좌번호를 확인하는 일이 참 중요해졌는데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버튼식보다도 실수로 클릭하기 쉬운 터치이다보니 스마트뱅킹시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자주 보내던 계좌라도 두 번, 세 번 확인하고 이체버튼을 누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혹 뉴스를 보면 개인 또는 기업의 큰 돈이 누군가에게 잘못 이체되어 문제가 발생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는데, 만일 계좌번호를 잘못 적은 채 보내면 어떻게 될까요? 입금이 완료된 상황에서 돈의 주인은 누구일까요? 돈은 돌려 받을 수 있을까요? 누구에게나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걱정해 보았을 일입니다. 내가 수취인이 될 수도 있고 송금인이 .. 2014. 1. 9. 상속자들을 위한 상속세 개념정리 상속자와 상속세. TV 등을 통해 종종 듣는 말들이고 얼마전 드라마 '상속자들'이 방영되면서 잠시 이슈가 되었지만 실제로 우리가 이것들에 대해 고민하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보통 일생에 한 번 경험할까 말까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인지 상속세가 정확히 무엇인지, 또 어떤 상황에서 얼마나 내야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복잡하고 정신없는 세법은 세무사에게 맡겨버릴 수도 있지만 뭐든 아는 만큼 힘이 된다는 말처럼, 또 상속을 통해 물려받게 되는 재산이 적은 돈은 아닌 만큼 이 두 가지에 대한 간단한 상식은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오늘은 상속세가 무엇인지와 세율은 몇 %나 되는지,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란? 상속세란 피상속인의 사망을 계기로 가족이나.. 2014. 1. 8. 크리스마스 데이트, 연인들이 가장 기대하는 데이트는 어떤 것일까? 연인들이 손꼽아기다리는 크리스마스가 이제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예수의 탄생이라는 종교적 의미를 떠나 크리스마스는 우리에게 문화이자 축제처럼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연인들은 치열한 예약 전쟁을 뚫고 근사한 곳에서 분위기를 내며 저녁을 먹고, 공연을 관람하거나 도심 데이트를 즐기곤 하는데요. 매년, 또 누구와 만나도 비슷한 데이트 코스이다보니 지겨워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실제 한 결혼정보회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지겨운 크리스마스 데이트 코스로 1위 근사한 곳에서 저녁식사(47%), 2위 볼거리 많은 도심 데이트(30%), 3위 공연 관람(15%), 4위 진부한 이벤트(8%)가 꼽히기도 했습니다. '특별한 날'에 '뻔한 데이트'를 하기 싫다는 말인데요. 그럼 어떤 색.. 2013. 12. 14. 쉽게 배우는 금융상식 :: 주주행동주의란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수출의존도로 인해 해외 경제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특히 미국 증시의 영향을 직격타라 할 만큼 직접적으로 받는데요. 그런만큼 해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 트렌드와 변화, 자주 등장하는 용어에 관심을 쏟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들의 변화는 우리 경제, 특히 개인 투자도 크게 늘어난 주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더욱이 최근에는 해외 직접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많아졌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늘고 있습니다. 주주행동주의란 무엇인가? 요즘 해외 경제 분야에서 자주 들리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주주행동주의'입니다. 더 정확히는 '주주행동주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주주행동주의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주주들이 경영.. 2013. 12. 11. 신입사원 재테크,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오랜 스펙 쌓기와 서류 심사, 면접을 거쳐 수 많은 경쟁자를 뚫고 당당히 입사에 성공한 신입사원! 모두 여유롭고 착실히 저축도 하는 장밋빛 생활을 꿈꾸실 텐데요. 정작 신입사원들의 이야기나 입사 후 몇년을 보낸 선배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결 같은 말이 있습니다. "입사 첫 해에는 돈 못 모아!" 입사전에는 많지 않은 월급이라도 아끼고 쪼개어 착실한 생활을 계획하지만 막상 회사생활을 시작하면 부모님 선물부터 그 동안 신세진 분들에 대한 인사, 친구들에게 취직턱까지 통장 잔고가 마이너스를 바라보지 않으면 다행일 만큼 들어가는 돈이 많은 탓입니다. 수입이 생겼으니 나를 위한 투자도 어느정도 해줘야 하지요. 게다가 요즘은 학자금 대출을 갚는 것도 보통일이 아닌데요. 뚜렷한 원칙 없이 생활하다가는 농담처럼 하는.. 2013. 12. 6. 이전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