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컬쳐660

부자들은 가계부 어떻게 쓸까? 숫자보다는 흐름이 중요! 재테크의 첫걸음을 떼기 위해서는 가계부를 써야 한다는 이야기,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가계부를 통해 자신의 재무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요. 이미 막대한 재산을 일군 부자들 사이에서도 가계부의 중요성은 심심찮게 거론되곤 합니다. 물론 가계부만 열심히 작성한다고 해서 모두가 부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닐 텐데요. 혹시 부자들의 가계부에는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비법이 숨어있는 것은 아닐까요? 오늘 KEB하나은행과 함께 여러분이 궁금해하는 '부자들의 가계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계부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이름을 떨친 억만장자들의 사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석유 재벌 존 록펠러(1839~1937년) 가문이 .. 2019. 11. 4.
나도 유튜버~ 세금은 알고 하자 최근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직업 가운데 상위권으로 급부상한 신규 직종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버입니다. 1인 미디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관련된 산업, 기술,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켜 왔는데요. 이러한 지각변동은 최근 어느 초등학생 유튜버가 강남지역에 수백억원대의 고가부동산을 취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과거 타인의 관심을 갈망한 나머지 조롱의 대상으로 비춰졌던 유튜버라는 직종은 뜨거운 호황기를 맞이하면서 선망의 대상으로 떠오른 것입니다. 이처럼 유튜버 직업이 급부상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두 말할 것 없이 플랫폼 YouTube입니다. 나스미디어에서 실시한 ‘2019 인터넷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YouTube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생산과 소비 측면에.. 2019. 9. 24.
서울 도심 핫 플레이스,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여러분은 샤로수길, 망리단길, 송리단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서울의 대표 핫 플레이스 중 하나였던 가로수길과 경리단길의 뒤를 이어 새롭게 부상한 서울 도심의 핫 플레이스입니다. 소위 말하는 ‘뜨는 동네’인 거죠.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SNS가 주된 소통 매체로 자리잡은 요즘은 다양한 SNS를 통해 간접경험을 하게 되면서 점점 더 ‘뜨는 동네’와 ‘지는 동네’의 주기가 짧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인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Gentrify(고급화하다)의 어원을 가진 젠트리피케이션은 1964년 지리학자 루스 글래스(Ruth Glass)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낙후되었던 런던의 주거지역에 중상층 이상의 사람들이 들어오게 되면서 개발과 보수.. 2019. 8. 27.
대한민국 부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자산운영 오늘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조사한 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부자들의 소득과 소비, 자산운영전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자료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자산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922명의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자산축적방식, 투자성향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대한민국 부자들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은 3,806만으로 일반가계의 월평균 소득보다 약 8.6배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편, 부자들의 월평균 지출액은 1,226만원이며 일반가계의 월평균 지출액인 332만원보다 약 3.7배 높은데요. 월평균 1,226만원이라는 액수의 절대적인 수치는 상당히 높지만, 소득대비 지출 비중은 약 32%로서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일반가계의 경우 소득대비 지출 비중은 약 74%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 2019. 8. 16.
신혼부부의 새로운 미래, 재테크로 시작하는 부부생활의 첫걸음 찬바람이 불던 추운 겨울이 지나가고, 어느덧 봄의 문턱에 다다랐습니다. 봄은 결혼으로 맺어져, 새로이 인생을 그려가는 부부들이 많이 생겨나는 축복의 계절이기도 하죠. 하지만, 결혼은 독립된 삶을 살아가던 두 사람이 하나의 가정을 꾸리는 일인 만큼, 고려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부부가 결혼하면서 함께 나누게 되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는 바로 경제적인 문제입니다. 오늘은 결혼을 하고 어떻게 부부가 통장을 관리해 나가야 하는지 알아보면서, 부부가 그려갈 경제 밑그림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하기 전 통장을 따로 관리하던 때와 달리, 부부가 통장을 합치게 되면 둘 중 한 명이 자연스럽게 경제적인 문제에 대하여 주도권을 가지게 됩니다. 이른바 '경제권', '경제주도권'이라고도 불리는 경제적 .. 2019. 3. 26.
작심삼일(作心三日)도 반복하면 습관이다! 절약하는 것만으로는 노후 대비가 어려운 요즘,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저축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처럼 평소에 돈을 지출하거나 저축하는 방식이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는 평생을 인생 플랜에 맞게 저축하는 습관이 필요한 때입니다. 그렇기에 미리 저축 습관을 잘 들여야 하겠죠? 신년을 맞아 자신의 소비 습관을 점검해보고 저축하는 습관을 위한 꿀팁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축을 위해서는 꾸준한 실천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습관 기르기가 필요한데요. 아직 정기적으로 저축하지 않았거나 습관 형성이 필요한 분들에게 쉬운 팁을 소개합니다. 첫째. 저축목표 세우기 해외여행이나 고가의 물품 구입을 생각해두시고 있다면 이에 대한 목표를 담은 통장을 따로 만들어 보는 것도 좋습니.. 2019.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