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컬쳐660

주린이라면 꼭 알아야 할 현실적인 주식 투자 조언 주식투자가 저금리 시대의 투자 상품으로 주목받으면서 주식시장에 새로운 투자자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30세대 사이에서 ‘주식투자 열풍’이 불고 있는데요. 이른바 ‘주린이(주식+어린이)’로 불리는 주식 초보자들이 국내 증권시장에서 적잖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요. 우선 저금리가 지속되고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지만, 근로소득은 그에 미치지 못하면서 ‘월급을 모으는 것만으로는 재산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튜브나 관련 서적 등 주식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늘어나면서 투자 정보를 접하기가 한층 쉬워진 점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올해 새롭게 개설된 420만 .. 2020. 9. 23.
내가 쇼핑중독이라고? 과소비 지수 제대로 계산하는 법 매월 반복되는 월급고개(다음 월급이 나올 때까지 견디기 어려운 현상)의 악순환에서 벗어나 자산을 똑똑하게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재테크 전문가들은 자신의 씀씀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혹시 자신도 모르게 과소비하는 습관을 가진 것은 아닌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과소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과도한 소비를 부추기는 심리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융교육센터가 내놓은 ‘과소비 지수 계산법’을 활용하면 자신의 소비 습관을 셀프로 점검할 수 있는데요. 월 평균 수입과 월 평균 저축액을 활용하면 과소비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월 평균 수입에서 월 평균 저축액을 제외한 뒤.. 2020. 9. 17.
2020 세법개정안 핵심은 이것! 절세하려면 꼭 체크하세요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2020년 세법개정안이 정기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세법개정안에는 주식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 부동산에 대한 세율 강화, 각종 투자세액 공제 등 굵직한 변화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서민과 중소기업의 조세 부담은 완화하고 고액 연봉자와 부동산에 대한 과세를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은 절세를 위해 꼭 알아 둬야 할 세법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이번 세법개정안을 통해 부가가치세 간이과세 기준이 20년 만에 바뀝니다. 간이과세는 세금계산서 발행 의무를 면제해주고 0.5~3%의 낮은 세율을 적용해주는 과세 유형인데요. 연간 매출액 4,800만 원 이하의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주로 이 유형을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세법개정안에서 간이과.. 2020. 9. 15.
[부동산 칼럼]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픽한 부동산 입지 경제지표는 아직 코로나19(COVID-19) 여파로 산업별 불확설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더욱 부각된 4차산업 언택트(untact) 산업의 상승 랠리에 이어 미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순환매로 이어진 컨택트(contact) 산업간 변화 행보가 연일 뉴스 지면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발표한 신곡 ‘다이너마이트’로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올라 화제가 되고 있는 아이돌그룹 BTS(방탄소년단)의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지난 9월 2일 유가증권시장 신규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혀 하반기 IPO(기업공개) 시장 최대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지난 3월 비즈니스 미디어 ‘Fast Company’가 발표한 ‘The World’s Most In.. 2020. 9. 10.
공과금으로 매달 16만 원이 빠져나간다? 공과금 아끼는 꿀팁 여러분께서는 매달 공과금으로 얼마를 지출하고 계시나요? 한 취업포털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의 한 달 평균 공과금은 15만 9천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또한 직장인의 96%가 매달 납부하는 공과금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는데요. 가장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공과금 항목은 전기요금이 54.9%, 다음으로 가스요금 51.9% 순으로 높았습니다. 향후 공과금 납부 비용을 절약할 계획에 대해서는 직장인의 78.2%가 ‘절약할 계획이 있다’라고 밝혔는데요. 최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의 주요 사용처를 묻는 질문에서도 공과금 납부가 13.5%로 2위에 오른 바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전기, 수도, 도시가스 요금과 같은 고정비를 부담스러워 한다는 뜻이겠죠? 하지만.. 2020. 9. 10.
나는 기프티콘으로 짠테크한다! 모바일 상품권 100% 활용법 선물을 직접 만나 주는 것 보다 모바일 상품권으로 간편하게 선물하는 것이 이제는 정말 익숙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주는 사람 입장에서는 선물을 구매한 뒤 직접 전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받는 사람도 스마트폰에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척 편리한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기프티콘(모바일 상품권)을 더욱 똑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19(COVID-19)는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바꿔 놓았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 방식이 자리 잡게 됐죠. 특히 비대면 트렌드를 타고 모바일 상품권 문화가 더욱 확산되고 있는데요. 한 시장조사 전문기관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 10명 중 7명(72.2%)은 기프티콘을.. 2020.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