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컬쳐662

한국인의 경제수명은 74.8세? 노후를 위한 경제수명 늘리는 법 경제수명이란 은퇴 후 적절한 생활비를 지출하며 지낼 수 있는 기간을 뜻합니다. 각자 준비한 은퇴 자산이 모두 소진된 기간까지를 경제수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인의 평균 경제수명은 약 74.8세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약 82.7년(OECD 보건통계 기준)이라는 사실인데요. 노년 인구 대부분이 75세 이후부터 약 7년 정도의 기간 동안 노후 자산 없이 살아가고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행복한 노후를 위해서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건강수명’, 사회적 활동을 위한 ‘활동수명’도 중요하지만, 여유롭고 안정된 생활을 위한 ‘경제수명’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경제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알아.. 2020. 11. 24.
2030이 영끌해서 집 사는 이유! 부동산 투자에 숨은 심리 ‘자산 증식의 수단’이자 ‘마지막 계층 사다리’로 불리는 부동산을 둘러싸고 다양한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금이 아니면 집을 살 수 없다는 심리를 반영한 ‘패닉바잉’,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산다는 뜻의 ‘영끌’ 등, 과열과 열풍을 넘어 종교처럼 번져가는 부동산 열풍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을 두고 전문가들은 집값이 오르는 요인으로 실질적인 경제 상황 외에도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나 사회학적 측면이 많은 영향을 준다고 말하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최근 부동산 시장에 어떤 심리가 숨어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는 계층은 2030 세대입니다. 2030 세대는 4050 세대에 비해 청약을 통한 주택 구입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모아둔 목돈이 부족해.. 2020. 11. 19.
무주택자가 청약 대박 나려면? 청약 당첨되는 현실적 방법 최근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주택의 중간값)이 9억 원을 훨씬 넘으면서 아직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한 분들의 마음이 점점 조급해질 것 같습니다. 직장이 서울 및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데, ‘직주근접(직장과 주거공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뜻하는 부동산 용어)’에 해당되는 아파트들은 생각조차 하지 못할 만큼 최근 거래 가격이 비싸기만 한데요. 이런 무주택자들에게 희망이 되는 내 집 마련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주택 청약 제도’를 꼽을 수 있는데요. 신혼부부를 비롯해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꿈꿔 봤음직한 부동산 정책이죠. 다만 주택 청약은 ‘로또 청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당첨되기가 하늘의 별 따기와 같은데요. 주택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청약 가점’이 높아야 하는.. 2020. 11. 17.
배달 알바로 월 632만 원? 코로나19 시대 고수익 배달 알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많은 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 반대로 배달업계는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 오히려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배달기사들의 평균 수익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일반 직장인의 급여를 크게 뛰어넘는 고수익을 인증하는 사람들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직장인들이 투잡을 위해 배달 아르바이트에 뛰어드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배달기사들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수익은 얼마나 되는지, 또 일반인이 배달 아르바이트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지금부터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인 배달 플랫폼인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소속 배달기사인 ‘배민라이더스’의 지난해 .. 2020. 11. 12.
직장 잃으면 국민연금 대신 내준다? 정부의 실업자 지원책 3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 속에 우리나라의 고용시장도 얼어붙고 있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9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 1,663억 원이었는데요. 이는 전달보다 689억 원이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구직급여액이 1조 원 이상 지급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직장을 잃은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9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9만 9,000여명에 달했습니다.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실직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갑작스럽게 직장을 잃은 분들을 지원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제도가 있죠? 바로 ‘실업급여’입니다. 실업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할 경우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급해, 경제적 안정을 돕는 제도인데요... 2020. 11. 10.
1인 가구라면 꼭 알아야 할 혼족 지원 정책 3 최근 몇 년 사이 홀로 살거나 혼자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혼족’이 주요 트렌드로 떠올랐습니다. 통계를 살펴보면, ‘나 홀로’ 거주 중인 1인 가구는 600만 명을 넘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9.9%에 육박하고 있는데요. 젊은 세대의 만혼과 비혼이 급증하고, 이혼과 사별로 혼자 사는 고령 인구가 많아진 것이 영향을 끼쳤습니다. 혼족은 미디어를 통해 자유롭고 당당한 이미지만 부각되는 경향이 있는데요. 현실 속 1인 가구의 상당수는 평균보다 자산 또는 소득이 낮거나, 주거와 생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1인 가구에 주어지는 혜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한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오늘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주거, 생활, 금융 등 3가지 분야의 1인 가구 지원 정책에 .. 2020.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