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 Blog835 성공하려면 사람도 가려서 사귀어라? 인복은 어떻게 생기나 여러분은 성공에 인복이 어느 정도 좌우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016년 잡코리아에서 직장인 2,1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이 가장 갖고 싶은 운 1위는 '재물운'이 아닌 '인복'이었습니다. 혼자의 노력으로 성공하는 사람도 물론 있겠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숨은 조력자들의 도움이 분명 있을 텐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인복이 많은 사람들의 인맥 관리 비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히 발이 넓은 사람이 인복이 좋은 걸까요?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닙니다. ‘인맥’과 ‘인복’의 차이를 구분해야 하는데요. ‘인맥’의 사전적인 뜻은 ‘정계, 재계, 학계 따위에서 형성된 사람들의 유대 관계’로, 단순히 알고 지내는 사이까지 모두 포괄하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그 관계가 꼭 내게 도움이 .. 2021. 10. 12. 어려워진 부동산 대출! 꼭 알아야 할 전략은? 내 집 마련은 물론 전셋집을 구할 때 대출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집값은 점점 오르는 반면 부동산 대출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데요. 가계대출 급증세를 우려해 정부에서 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의 경우 대출에 의지하는 부분이 큰 만큼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부동산 실수요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부동산 대출 상식과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강도 높은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사들도 대출 한도를 줄이는 등 대출 제한 조치에 나서는 분위기인데요. 개인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100% 이내로 제한하고, 일부 은행에서는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주택담.. 2021. 10. 7. 공매도가 왜 난리일까? 주식시장 움직이는 큰 손들 올해 주식시장의 뜨거운 감자는 단연 공매도입니다. 지난 2021년 5월, 공매도가 다시 허용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졌는데요. 공매도가 주가의 낙폭을 키우고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 대신 개인 투자자들이 손실을 떠안는 경우가 많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주식시장에는 공매도와 같이 예상치 못하게 주가를 뒤흔들어 개인 투자자들을 당황하게 하는 이른 바 ‘큰 손’들의 움직임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개인 투자자들이 미리 알아야 할 주식 시장의 큰 손 세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도서 『10년 후에도 살아남을 주식에 투자하라』 김민희 지음 공매도는 주식 시장의 큰 변수입니다. 공매도란 없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실제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가격에 사서 차익을 내는 거래 방식인.. 2021. 10. 5. 퇴직금도 투자하기 나름! 퇴직연금 수익률 10% 넘기려면?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2020년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퇴직연금(IRP)의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확정기여형과 IRP는 확정급여형(DB)과 달리 가입자가 직접 주식형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투자할 수 있는 퇴직연금인데요. 개인이 직접 운용해 높은 수익률을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원금보장형이 1% 남짓한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실적배당형 퇴직연금은 10%가 넘는 수익을 올렸는데요. 퇴직연금은 운용 방식에 따라 수익률도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들을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원금보장형과 실적배당형인데요... 2021. 9. 30. 코로나19로 못 쓴 항공사 마일리지, 어디에 쓸까? 항공권 구매나 제휴 신용카드 사용으로 차곡차곡 적립해 둔 항공사 마일리지. 보통은 보너스 항공권 구매 또는 좌석 업그레이드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데요.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해외여행길이 막히면서 그동안 쌓은 마일리지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항공사 마일리지는 유효기간을 고려해 사용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여행을 가지 않더라도 생활 속에서 마일리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마음 편히 해외여행을 떠날 수 있는 시기가 언제 올지 불투명해졌습니다. 여행 갈 때 쓰려고 아껴 두었던 항공사 마일리지도 사용하지 못하고 쌓여만 가고 있는데요. 이렇게 소진되지 못한 누적 마일리지는 소비자와 항공사 모두에게 골칫덩이입니다. 소비자들은 .. 2021. 9. 28. 인플레이션이 오면 주식을 팔아야 할까? 투자 전문가들의 대답은 유동성을 바탕으로 성장하던 세계 경제에 인플레이션이라는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에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는데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금융자산이 실물 자산보다 불리합니다. 금융자산의 투자수익률이 물가 상승을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제학자 제레미 시걸과 투자가 워런 버핏 등 금융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하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대표적 금융자산인 주식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찾아왔을 때의 투자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4% 상승했는데요.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 2021. 9. 23.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