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Blog838

금융생활에 고속도로가 뚫린다? Q&A로 알아보는 오픈뱅킹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최근 은행들이 시작한 오픈뱅킹 서비스에 대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오픈뱅킹을 이용하면 자산관리도 편리해지고 각종 혜택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로 떠들썩한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스마트폰뱅킹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 언뜻 들어서는 잘 모르겠다는 분들도 적지 않은데요. 오픈뱅킹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편리해지는지 또 별도의 수수료 비용이 드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오픈뱅킹의 모든 것을 파헤칠 Q&A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오픈뱅킹에 대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모아, KEB하나은행과 함께 오픈뱅킹의 A부터 Z까지 알아볼까요? Q. 오픈뱅킹이 뭔가요? 오픈뱅킹은 '은행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유.. 2019. 11. 11.
부자들은 가계부 어떻게 쓸까? 숫자보다는 흐름이 중요! 재테크의 첫걸음을 떼기 위해서는 가계부를 써야 한다는 이야기,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가계부를 통해 자신의 재무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요. 이미 막대한 재산을 일군 부자들 사이에서도 가계부의 중요성은 심심찮게 거론되곤 합니다. 물론 가계부만 열심히 작성한다고 해서 모두가 부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닐 텐데요. 혹시 부자들의 가계부에는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비법이 숨어있는 것은 아닐까요? 오늘 KEB하나은행과 함께 여러분이 궁금해하는 '부자들의 가계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계부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이름을 떨친 억만장자들의 사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석유 재벌 존 록펠러(1839~1937년) 가문이 .. 2019. 11. 4.
[제8회 대한민국 지식대상] KEB하나은행 ‘대통령상’ 수상 KEB하나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은 행정∙경영 문화 확산을 선도하는 기관에 수여하는 상으로서, 행정안전부, 회계법인 KPMG삼정, 매일경제신문이 매년 세계지식포럼 기간에 맞춰 공동으로 주관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상입니다. 신뢰받고 앞서가는 글로벌 금융그룹 KEB하나은행은 상과 함께 디지털-글로벌전략, 기업문화,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 부문에서 우수한 지식 행정을 실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디지털 경쟁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디지털∙글로벌 융합전략 ☞ 디지털-글로벌 전략 디지털 경쟁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융합한 글로벌 결제 플랫폼인 GLN과 환전 지갑, 누구나 3분이면 모바일로 대출가능한 하나원큐신용대출, 대화형 인공지능 금융 서비스 HAI .. 2019. 10. 2.
나도 유튜버~ 세금은 알고 하자 최근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직업 가운데 상위권으로 급부상한 신규 직종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버입니다. 1인 미디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관련된 산업, 기술,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켜 왔는데요. 이러한 지각변동은 최근 어느 초등학생 유튜버가 강남지역에 수백억원대의 고가부동산을 취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과거 타인의 관심을 갈망한 나머지 조롱의 대상으로 비춰졌던 유튜버라는 직종은 뜨거운 호황기를 맞이하면서 선망의 대상으로 떠오른 것입니다. 이처럼 유튜버 직업이 급부상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두 말할 것 없이 플랫폼 YouTube입니다. 나스미디어에서 실시한 ‘2019 인터넷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YouTube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생산과 소비 측면에.. 2019. 9. 24.
서울 도심 핫 플레이스,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여러분은 샤로수길, 망리단길, 송리단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서울의 대표 핫 플레이스 중 하나였던 가로수길과 경리단길의 뒤를 이어 새롭게 부상한 서울 도심의 핫 플레이스입니다. 소위 말하는 ‘뜨는 동네’인 거죠.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SNS가 주된 소통 매체로 자리잡은 요즘은 다양한 SNS를 통해 간접경험을 하게 되면서 점점 더 ‘뜨는 동네’와 ‘지는 동네’의 주기가 짧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인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Gentrify(고급화하다)의 어원을 가진 젠트리피케이션은 1964년 지리학자 루스 글래스(Ruth Glass)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낙후되었던 런던의 주거지역에 중상층 이상의 사람들이 들어오게 되면서 개발과 보수.. 2019. 8. 27.
대한민국 부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자산운영 오늘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조사한 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부자들의 소득과 소비, 자산운영전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자료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자산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922명의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자산축적방식, 투자성향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대한민국 부자들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은 3,806만으로 일반가계의 월평균 소득보다 약 8.6배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편, 부자들의 월평균 지출액은 1,226만원이며 일반가계의 월평균 지출액인 332만원보다 약 3.7배 높은데요. 월평균 1,226만원이라는 액수의 절대적인 수치는 상당히 높지만, 소득대비 지출 비중은 약 32%로서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일반가계의 경우 소득대비 지출 비중은 약 74%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 2019.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