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컬쳐

사이버 신분증 전자 인증서!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by 하나은행 2022. 10. 11.
Hana 컬쳐

사이버 신분증 전자 인증서!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by 하나은행 2022. 10. 11.

 

온라인에서 은행 거래를 하거나 주민등록등본 등 각종 서류 발급을 위해서는 전자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특히 연말 정산 시기가 되면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오늘은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각각의 차이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이버 신분증 공동인증서

 

근로계약이나 부동산 계약을 할 때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동의한다는 의미로 서명을 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도 은행 거래나 개인 정보가 담긴 서류를 발급받을 때 ‘전자서명’을 통해 본인 확인을 해야 합니다.

 

전자서명을 위해서는 전자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는 대표적인 전자 인증서로 인터넷뱅킹이나 온라인 증권 거래, 전자 민원 서비스 이용 시 본인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사이버 신분증입니다.

 

2020년 전자서명법 개정되기 전까지 공동인증서는 공인인증서라고 불렸습니다. 공인인증서는 1999년 전자서명법이 개정되며 도입된 전자서명 시스템으로, 2020년까지는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6개 공인인증기관에서만 발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정부 규제와 특정 기관의 시장 독점, 공인인증서 유출 사고 등 보안과 안정성의 문제가 제기되며 2020년 12월 10일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고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탄생했습니다.

 

공동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PC 보안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합니다. 유효기간은 1년으로 해마다 갱신해야 하며, PC나 스마트폰, USB 등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에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한 암호 10자리로 지정해야 합니다.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은행, 신용카드, 보험용 인증서와 범용 인증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 은행, 금융투자회사 등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

 

2020년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국가에서 인정한 공인인증기관 외에도 은행, 통신사, 플랫폼 사업자도 인증서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공동인증서 외에도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와 같이 다양한 전자서명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금융인증서는 공동인증서와 이름은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특징이 다릅니다.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하였으며 공동인증서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특징입니다. 먼저 PC, 스마트폰, USB 등 사용자 기기에 별도 보관해야 하는 공동인증서와 다르게 보안 프로그램 설치나 기기에 따로 저장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됩니다. 또한 유효기간은 3년으로 자동 갱신이 가능하고, 인증 방법이 6자리 숫자 혹은 패턴, 지문, 안면 인식 등으로 다양합니다.

 

다만 금융인증서로 은행 등의 금융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PC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타행 등록을 위한 인증 과정이 복잡합니다. 게다가 은행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공공기관, 금융투자회사, 카드사 등 아직까지 사용할 수 없는 곳이 많아 공동인증서보다 폭넓게 사용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다양해지는 전자 인증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외에도 은행, 통신사, 플랫폼 사업자 등에서 자체 개발한 민간 인증서도 다양해졌습니다. 은행에서는 자체 인증서 개발을 통해 간편 비밀번호, 패턴, 지문, 얼굴인식 등 간편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은행 자체 개발 인증서로는 하나은행 하나원큐 인증서, S은행 쏠인증, K은행 KB모바일 인증서, W은행 원(WON)금융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은행들이 자체 인증서를 개발하는 이유는 타사 인증서 활용 시 인증 단계가 추가돼 서비스의 연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자체 금융 플랫폼에서 자체 인증서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금융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고 국세청 홈택스나 연말정산 등 플랫폼 간 연계를 통해 고객 편의성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은행 외 민간에서 개발한 간편인증서도 있습니다. 카카오, 페이코, 네이버 등의 간편인증서는 모바일과 연계해 간단하게 인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1년 1월부터 정부24와 국세청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점차 사용 비율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공동/금융인증서 발급 방법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공동인증서 외에도 선택의 폭이 다양해졌음에도 공동인증서 사용률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24 웹 페이지에서의 공동인증서 사용률은 84.5%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월 기준)

 

공동인증서는 주로 이용하는 은행 사이트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 인증센터에 접속한 후 ‘공동인증서 발급/재발급’을 선택하고 이용약관에 동의 후 절차에 맞춰 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발급 시에는 인증수단으로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조합해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며,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휴대폰 중에서 저장할 기기를 선택하여 발급받으면 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방법도 공동인증서와 유사합니다. 단, 클라우드 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인증서를 따로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인증수단으로는 6자리 숫자로 구성된 PIN 번호 외에도 패턴 비밀번호, 생체인증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하나은행 1Q 블로그와 함께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세청 홈택스나 연말정산, 각종 금융 거래를 위해서는 사이버 신분증인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인증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나 아직은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사용 범위가 넓습니다. 그러니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각각의 차이점과 특징을 이해하고 본인에게 더 적합한 인증서를 현명하게 선택해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