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a 컬쳐

인플레이션이 오면 주식을 팔아야 할까? 투자 전문가들의 대답은

by 하나은행 2021. 9. 23.
Hana 컬쳐

인플레이션이 오면 주식을 팔아야 할까? 투자 전문가들의 대답은

by 하나은행 2021. 9. 23.

 

유동성을 바탕으로 성장하던 세계 경제에 인플레이션이라는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에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는데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금융자산이 실물 자산보다 불리합니다. 금융자산의 투자수익률이 물가 상승을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제학자 제레미 시걸과 투자가 워런 버핏 등 금융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하는데요. 오늘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대표적 금융자산인 주식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찾아왔을 때의 투자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4% 상승했는데요.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또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에 의하면 지난 8월 기대인플레이션은 2.4%로 2018년 12월(2.4%)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치인데요. 실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지표입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 압박은 어느 특정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인데요. 2021년 2분기만 하더라도 한국은행과 미 연준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던 물가 상승 추세가 3분기 들어서도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로 다가온 상황인데요. 물가 상승 폭이 커지면서 금리 인상의 필요성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에 유통되던 투자금 중 많은 양이 은행으로 몰리게 되고, 이자에 대한 부담 때문에 대출은 줄어드는데요. 따라서 투자와 소비가 줄어들고 물가는 자연스럽게 하락하는 것이 금리 인상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입니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기존 0.5%에서 0.75%로 인상했는데요. 중요한 사실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단발성이 아니라 추가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는 점입니다.

 

사실 인플레이션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소비와 수요가 살아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죠. 하지만 지나치게 빠른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과열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상 등의 방법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주식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치는데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주식의 가격은 그대로이지만 실물 자산에 대한 구매력, 즉 주식의 실질가치는 하락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주식으로 번 돈보다 물가가 더 오르는 상황인 거죠.

 

또한 인플레이션은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중앙은행은 이자율을 높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주식의 대체 자산인 채권의 수익률이 높아지게 되죠. 금리가 상승하면 예금이나 적금 등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 역시 올라가 주식투자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세계적인 경제학자 제레미 시걸은 최근 인플레이션과 주식에 대해 이색적인 주장을 펼쳤습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금리 인상이 찾아오더라도 주식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이라는 의견인데요. 이미 시장에 많은 양의 유동성이 풀렸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와도 주식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 시걸의 주장입니다. 시걸은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부정하지 않았는데요. 하지만 올해 미국 주식시장의 추가 상승 여력은 10%가량 남아있으며,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도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은 인플레이션이 왔을 때 어떤 주식에 투자할까요? 시걸 교수가 경제학자의 관점에서 시장을 낙관했다면, 버핏은 투자가의 관점에서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활용 가능한 기회라고 판단했는데요. 버핏은 최근 미국의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찾아온다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재투자 없이도 계속 값어치가 오를 만한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는데요. 그 예시로 브랜드 파워가 강한 기업들을 꼽았습니다.

 

버핏은 부동산 역시 물가가 상승하는 시기에 투자할만한 대상 중 하나로 꼽았는데요. 부동산은 일회성 지출에 해당하며, 다시 팔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버핏의 말에 따르면 부동산은 다른 사람에게도 유용한 자산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투자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버핏이 마지막으로 추천한 것은 인덱스 펀드인데요. 사실 버핏의 인덱스 펀드 사랑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아내를 위해 미리 준비한 유언장에 "재산 90%를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라고 썼을 정도인데요. 버핏은 인덱스 펀드 중에서도 특히 단일 종목보다 위험이 적은 저비용 인덱스 펀드가 인플레이션 시기에 가장 현명한 투자 대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하나은행 1Q블로그와 함께 주식과 인플레이션의 관계그리고 인플레이션 속에서의 주식투자 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75%로 인상하면서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는데요.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리 인상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첫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추가 인상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은 사실상 현재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투자 전략을 다시 한번 점검해 인플레이션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성투’하시길 바랍니다.